본문
기후과학국 기후예측과 기상서비스진흥국 국가기후데이터센터는 17일 2018년과 1994년 폭염 비교를 발표했다.
2018년, 1994년 폭염과 유사하나 북태평양고기압 세력이 더욱 강했으며 서울 39.6℃, 관측 시작 이래 111년 만에 일 최고기온 극값 1위를 경신했고 현재(8월 16일)까지 1973년 이래 전국 평균 최고기온, 폭염일수 1위를 경신했다고 밝혔다.
<폭염 원인>
우리나라 폭염원인은 티벳 고기압과 북태평양고기압 발달로 2018년과 1994년 모두 우리나라 주변 대기상층에 티벳 고기압이, 대기중·하층에는 북태평양고기압이 평년보다 강하게 발달하여 덥고 습한 공기가 유입된 가운데, 맑은 날씨로 인한 강한 일사효과까지 더해져 무더운 날씨가 이어졌다.
|
특히, 2018년은 1994년과 비교하여 티벳 고기압과 북태평양고기압의 세력이 더욱 강하고, 보다 폭넓게 발달한 특징을 보이고 있다.
열대 서태평양의 대류활동 강화로 (열대 태평양 해수면온도) 2018년은 봄철부터 최근(6월 1일~8월 16일)까지 엘니뇨·라니냐 감시구역의 해수면온도가 중립상태를 보인 반면, 1994년에는 봄철부터 엘니뇨가 이어졌다.
|
하지만, 두 해 모두 열대 서태평양에서 해수면온도가 평년보다 높게 유지되면서, 필리핀 해 부근에서 상승기류(대류활동)가 활발했고, 이 상승기류는 우리나라 남쪽 해상에서 하강기류(대류억제)로 바뀌면서, 북태평양고기압이 발달하는데 기여한 것으로 분석된다.
<대기상층 파동 현상>
2018년과 1994년 모두 중위도 지역을 중심으로 온난한 성질의 고기압들이 동서방향으로 늘어서 있는 기압계가 특징적으로 나타났다.
특히, 북반구 중위도 지역을 중심으로 나타난 고기압들의 강도는 1994년보다 올해 더욱 강하게 나타나 유럽과 중동, 동아시아와 북미를 중심으로 폭염과 산불 등 기상재해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으며 스웨덴, 알제리, 모로코 등 관측사상 최고기온을 기록했고 사하라사막은 최고기온 51.3℃ 를 기록했다.
|
이로 인해, 두 해 모두 중위도 지역에서의 제트기류가 평년보다 북쪽에 위치하여 중위도 대기상층의 동서흐름이 정체되면서 폭염이 지속된 것으로 분석된다.
2018년과 1994년의 폭염은 티벳 고기압과 북태평양고기압의 세력이 강했던 이례적인 사례다. 특히, 2018년은 1994년보다 고기압 세력이 더욱 강했고, 장마 종료 후 강수현상이 매우 적었기 때문에 뜨거운 열기가 식지 못하고 지속적으로 누적되면서 폭염과 열대야가 더욱 강화되는 특징을 보였다.
<태풍의 영향>
1994년에는 8월 상순에 태풍(제11호 BRENDAN, 제14호 ELLIE)의 영향으로 두 차례의 많은 비가 내려 더위가 일시적으로 누그러졌으나, 2018년은 장마 종료 후, 두 개의 태풍(제10호 AMPIL, 제12호 JONGDARI)이 오히려 폭염을 강화시킨 역할을 했다.
<기온과 강수량 극값 현황>
최고기온은 서울은 39.6℃를 기록(2018년 8월 1일)하여 종전의 기록인 38.4℃(1994년 7월 24일)를 뛰어넘으면서, 기상관측을 시작(1907년 10월 1일)한 이래 111년 만에 가장 높은 값을 기록 했다.
|
또한, 홍천은 41.0℃를 기록(2018년 8월 1일)하며 대구에서 기록했던 전국 역대 1위인 40.0℃(1942년 8월 1일)를 경신하여, 우리나라에서 가장 높은 기온을 기록했다.
|
최저기온은 밤사이 서울은 30.3℃(2018년 8월 2일), 강릉은 30.9℃(2018년 8월 8일)를 기록하면서 기상관측 이래 가장 높은 최저기온값을 경신했다.
|
|
전국 평균 기온과 강수량을 보면 올 여름철(6월 1일~8월 16일) 전국 평균기온과 최고기온은 각 25.5℃, 30.7℃로 평년(23.5℃, 28.3℃)에 비해 2.0℃, 2.4℃ 높아 1973년 통계작성 이후 가장 높았고, 일조시간도 611.3시간으로 평년(424.2시간)에 비해 187.1시간이 많아 가장 길었다.
<폭염일수와 열대야일수 현황>
폭염일수와 열대야일수 현황을 보면 올 여름철(6월 1일~8월 16일) 전국 평균 폭염일수는 29.2일(평년 8.7일)로 1973년 통계 작성 이후 가장 많았고, 열대야일수는 15.7일(평년 4.4일)로 1994년(16.6일) 이후 두 번째로 많았다.
|
폭염일수는 일 최고기온이 33℃ 이상인 날이며 열대야일수는 밤(18:01∼익일09:00) 최저기온이 25℃ 이상인 날을 말한다.
|
낮 동안 폭염은 주로 내륙지역에, 밤 동안 열대야는 주로 해안가를 중심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특징은 1994년과 유사했다.
현재까지(8월 16일) 폭염일수는 의성이 43일로 가장 많은 일수를 나타냈고, 폭염 최장 지속일수는 금산이 37일로 가장 오래 지속되고 있다.
|
열대야일수는 청주가 34일로 가장 많은 일수를 나타냈고, 열대야 최장 지속일수는 여수가 29일로 가장 오래 지속도고 있다.
<2018년과 1994년의 기온과 강수량 현황>
여름철(6월 1일~8월 16일) 기온과 강수량을 비교해 보면 2018년과 1994년의 전국 평균기온은 각 25.5℃, 25.4℃로 평년보다 2.0℃,1.9℃로 높았고, 강수량은 각 343.4㎜, 328.4㎜로 평년보다 적었다.
평년은 1981~2010년, 30년 평균을 말하며,퍼센타일은 평년 동일 기간의 강수량을 크기가 작은 것부터 나열하여 가장 작은 값을 0,가장 큰 값을 100으로 하는 수(평년 비슷 범위: 33.33~66.67퍼센타일)를 뜻한다.
<장마 특성>
2018년과 1994년의 장마기간은 평년보다 짧고, 강수량은 적었다.특히, 올해 장마는 7월 11일에 중부지방에서 종료되면서 장마기간이 1973년 이래 두 번째로 짧아 폭염이 일찍 시작된 요인이 됐다.
가장 짧은 장마은 1973년, 제주도 6월 25일∼7월 1일(7일), 남부와 중부 6월 25∼30일(6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