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times창원]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준고랭지 지역에 고온 경감 종 합 기술을 투입해 여름 배추 생산 가능성을 실험한 결과, 기존보다 한 달 빠른 수확으로 추석 무렵 안정적인 물량 공급이가능함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여름철 배추는 주로 해발 600m 이상 고랭지에서재배되는데, 최근 이상기상과 이어짓기에 따른 병해충 발생 증가로 수급문제가 반복되고 있다. 특히, 봄철 저장한 배추가 소진되는 9월 중순 이후에는추석 수요까지 겹치며 가격이더 오르는상황이다.
|
이에 농촌진흥청은 2023년부터 해발 400~600m 준고랭지에 여름 견딤성이우수한 배추 ‘하라듀’를 심고 저온성필름, 미세살수, 생리활성제등 고온 경감 기술을 투입해 9월 수확할 수 있는 생산 체계를 연구해왔다.준고랭지는 고랭지보다 온도가 1~3도(℃) 더 높아 10월 초부터나 배추 생산이 가능하다.
실험 결과, 고온 경감 기술을 투입해 재배한 준고랭지 배추는 무더운 7월부터고온 피해가 발생하지 않았고, 하나당 평균 무게가 3kg이 넘어 생육이 양호했다.생산량도 기존 고랭지 지역 평균(5.2톤)보다 1.8톤 많은 10아르(a)당 7톤 이상을 기록했다.
또한, 경제성 분석 결과, 수확 시기가 10월 초중순에서9월 중하순으로 당겨짐에따라 농가 소득도 10아르(a)당 419만 원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와 관련해 농촌진흥청은 9월 10일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진부면 준고랭지 실증 재배지에서 농가, 관계 기관, 연구자와 함께하는 현장 평가회를연다.
이날투입 기술 설명과 함께 준고랭지 배추의 수확량, 품질 등을 살펴볼계획이다. 또한, 대한민국김치협회와 협력해 조기 출하 배추로담근 김치를 나누며 품종에 따른 식감과 맛, 가공 적합성 등을 평가할예정이다.
한편, 농촌진흥청이 분석한 준고랭지 배추 재배후보지*는 967헥타르(ha)로 나타났다.모두기계화 기술을 적용할 수 있고물 빠짐이 양호한곳이다. 농촌진흥청은 이 가운데 재배 여건과 의향을 조사해 100헥타르(ha)를 선발, 준고랭지 여름 배추 생산단지로 육성할 계획이다.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채소기초기반과 옥현충 과장은 “실증 실험과농가 시범사업 결과를 종합해 준고랭지 조기 출하 재배 기술을 보강하고,주산지를 대상으로 보급을 확대해 나갈계획이다.”라며 “장기적으로는 농림축산식품부 정책 부서와 협업해 준고랭지 생산단지를 조성함으로써 여름 배추 수급 안정에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전했다.